1. 비전
한국 DOI 센터는 국제 표준 식별체계로 대한민국의 편리하고 항구적인 콘텐트 네트워크 구축을 진흥한다.
2. 목표
- 국내 과학기술정보와 데이터의 서지정보를 광범위하게 수집한다.
- 수집된 정보와 데이터에 대한 한국 내 활용을 촉진한다.
- 국제적으로 한국의 연구 성과에 대한 접근 환경을 향상시킨다.
3. 운영
KISTI가 한국 DOI 센터를 운영하며, 콘텐트를 보유하거나 주기적으로 콘텐트를 출판하는 기관을 중심으로 한국 DOI 센터의 운영위원회를 구성한다.
4. 연혁
- 2007년 국내학술정보에 대한 Crossref 스폰서 회원 업무 개시
- 2015년 이전 DOI 등록관리 기관 추진 계획 수립
- 2016년 DOI 등록관리 기관 자격 취득 및 등록관리시스템 인프라 구축
- 2017년 학술정보, 과학데이터, 공공데이터를 대상으로 DOI 등록 업무 수행
5. 회원
다음의 자격을 갖춘 기관, 단체 및 개인은 한국 DOI 센터의 회원이 될 수 있으며, 보유하고 있는 콘텐트에 DOI를 부여하여 한국 DOI 센터에 관련 메타데이터를 등록한다.
- DOI를 등록하고자 하는 콘텐트에 대한 저작권이나 유통권리를 가진 기관이나 개인
- 저작권 양도받은 출판사, 학회, 학술지 발간자
- 연구를 통해 데이터를 생산하는 연구자
- 국가 혹은 국제적으로 해당 데이터나 콘텐트를 등록받는 기관
6. 콘텐트 범위
한국 DOI 센터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연구 관련 콘텐트의 항구적 접근과 인용 등을 촉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콘텐트의 DOI를 등록한다.
- 학술정보
- 연구보고서
- 과학데이터
- 지식재산권(특허, 실용신안, 디자인, 상표)
- 범용데이터
7. 타 DOI 등록기관과 제휴
한국 DOI 센터는 등록된 콘텐트의 글로벌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Crossref, JaLC, ISTIC, DataCite 등 국제적 위상을 갖는 타 DOI 등록관리기관들과 제휴를 통해 정보를 공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