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중심 네트워크의 핵심, DOI 체계의 응용에 대한 세미나에 참석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행사명 : 2018 한국 DOI 활용확산 세미나
- 일시 : 11월 30일(금), 13:15~16:30
- 장소 :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 대회의실
DOI(Digital Object Identifier)는 객체에 부여되는 고유한 디지털 식별자로서 편리하게 항구적인 접근과 인용을 보장하는 수단으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콘텐트에 DOI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아래 절차와 같이 회원가입 후, 접두사를 부여받고, DOI와 메타데이터를 양식에 따라 제출합니다.
- 회원가입
- 접두사 신청
- DOI 및 메타데이터 등록
ISSN, DOI, 과제 정보, 피인용문헌(Cited by), 이력 정보를 http://data.doi.or.kr/ + doi 로 간단히 확인 하세요. 한국DOI센터에 등록된 콘텐트는 서지와 초록이 채워지고, 이력정보가 관리되며, 국가연구개발과제, 참고문헌, 피인용 문헌 등이 연결됩니다.
- 전체 정보 : http://data.doi.or.kr/10.3743/KOSIM.2011.28.2.117
- 이력 정보 : http://data.doi.or.kr/history/10.3743/KOSIM.2011.28.2.117
- Cited by : http://data.doi.or.kr/citedby/10.3743/KOSIM.2011.28.2.117
- 인용 정보 : http://data.doi.or.kr/cite/10.3743/KOSIM.2011.28.2.117
- QR 코드 : http://data.doi.or.kr/qr/10.3743/KOSIM.2011.28.2.117

DOI 체계 국제 협력 세미나

국내 학술정보의 DOI 체계 적용 계획 설명회
Open Science는 데이터 공개, 개방의 문제가 아니라 이해당사자가 데이터를 합리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체제를 마련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공감하는 공동체의 구성, 권리권자들의 제어권 범위 내에서 데이터에 대한 편리한 항구적인 접근과 인용 방법의 구현 그리고 연구 생명주기 단계에 알맞은 도구의 활용이 Open Science를 통해 혁식으로 가는 방법임을 여러 사례를 통해 증명되고 있습니다.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의 분야별로 콘텐트를 공유하고 활용할 공동체를 구성하고 공동의 미션을 설정합니다. 참고로, 공동체에 의해 현장의 요구사항과 아이디어를 반영하는 정보시스템은 부족해 보여도 성공할 확률이 높습니다. 이미 충분한 고객을 확보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공동체를 중심으로 콘텐트 형식의 표준을 정하고, 콘텐트를 해당 형식에 맞춰 가공한 후, 국제 표준 식별자인 DOI를 부여하여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합니다. 사용자들은 부여된 DOI를 이용하여 해당 콘텐트에 언제든 손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데이터 생명주기 또는 연구 생명주기 단계별로 공동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도구와 서비스로 사이언스를 가능하도록 지원합니다.